한의학에서는 임신의 조건을 종자지도(種子之道)라는 말로 설명하여 왔습니다. 즉 택지(擇地), 양종(養種), 승시(乘時), 투허(投虛)를 말하는데, 여기서 택지라 함은 배란을 지칭하고, 양종은 사정을, 승시는 수정, 투허는 착상을 의미하는 것입니다. 이러한 임신의 조건을 방해하는 요소로는 자궁허냉(子宮虛冷), 기체(氣滯), 어혈(瘀血), 습열 및 습담(濕熱濕痰)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. 자궁허냉은 자궁이 차다는 표현이고, 기체는 기가 잘 통하지 않고 느리고 막히고 쌓인다는 표현이며, 어혈은 혈액과 수액의 순환이 순조롭지 않고 막히고 쌓이고 썩는다는 표현이고, 습열 및 습담은 신진대사가 불량해지고 노폐물이 쌓이기 쉬운 것을 표현하는 것입니다. 이런한 임신 방해요소를 포착한 뒤에는, 이것을 생기게 한 인체 환경에 대한 진단을 내립니다. 즉 무엇이 어떻게 부조화, 불균형되었는가를 살피는 것입니다. 보다 큰 숲을 보는 과정입니다….